소소한 일상

시간을 조금 거꾸로 되돌려~

타박네 2016. 7. 25. 11:58

 

 

                        지난 주 실땅님이 싸준 김밥입니다.

                          비주얼 끝내주죠?

                          경주 어느 유명 김밥집 스타일로 얇게 부친 달걀지단을 채썰어 듬뿍 넣었어요.

                          식감이 참 부드럽습니다.

                          언니가 만든 김밥과 경합을 붙인다면 우열을 가리기 힘든 정돕니다.

                          비슷비슷한 재료를 사용함에도 맛에서 차이가 난다는 것도 참 재밌네요.

                          다만 한 가지 서운한 거라면 김밥 두 줄 분량이 담긴 접시에 꼬투리는 달랑 하나.

                          이럴 수가요!

                          쭈쭈바랑 김밥의 하일라이트는 당연 꼬투리죠.

                          생선 대가리,동태 눈알,장어 꼬리,요플레 뚜껑,김밥 꼬투리.

                          유치원생도 아는 그 사실을 실땅님만 모르고 있었던 걸까요?

                          재료의 신선도와 맛과 정성에서 완벽에 가까운 점수를 받았음에도

                          꼬투리 때문에 감점들어갑니다.

                          꼬투리 세 개는 썰면서 내가 먹었어,

                          담담히 고백하는 그 배짱 앞에 할말을 잃었습니다.

                          그러므로 김밥 한 줄 반은 실땅님이 다 먹은 거나 마찬가지라 얘기죠.

                         

                          천하의 그 어떤 김밥을 먹으면서도 남편은 그때마다 한 마디 하는 걸 잊지 않습니다.

                          네가 싸주는 김밥이 제일 맛있어.

                          부려먹자고 하는 감언이설 아닙니다.

                          아이고, 이번에는 김밥이냐? 부디 이러지들 마시길! 

                          비록 제가 뾰족히 내세울 거 없는 인생이 서글픈 나머지

                          같잖고 되잖은 거 막 주워올려 혼자 북치고 장구 치고 나발 부는 것으로

                          골수에 사무친 열등감을 극복해가며 살기로

                          멀쩡한 남편 입맛까지 끌여들여 자화자찬을 하겠어요?

                          남편의 입맛을 사로잡은 김밥맛에는 다 남다른 비결이...

                          있습니다.

                          그걸 알려주신 분은 돌아가신 어머니를 대신해

                          지금까지 친정붙이 노릇을 해주시는 동네 어르신입니다.

                          날아가는 참새 뭣을 봤나 실실거리긴,문디 옻낭구 올라가는 소리하고 자빠졌네 같은

                          찰진 욕을 가르쳐 주셨던 스승님이기도 하죠.

                          무슨 특별한 음식이 있을 때마다 저희 가족들이 호출되어 가곤 했었어요.

                          맡겨 놓은 듯 된장 간장 퍼다 먹고

                          호박범벅이며 나물이며 어르신 음식 참 많이도 얻어먹고 살았습니다.

                          어느 날인가,

                          호출을 당한 건지 때가 되어 애를 핑계삼아 슬그머니 들어가본 건지는 모르겠지만

                          우리 스승님이 마루에 철푸덕 앉아 김밥을 싸고 계셨죠.

                          저눔에 영감은 내가 싸준 김밥만 먹어.

                          심심해서 산으로 나물이나 좀 하러 가신다니 김밥 두 줄 싸보낼 참이랍니다.

                          (아! 몇 해 전 갑자기 돌아가신 스승님의 영감이자 제 아버지같았던 그분이 그립습니다)

                          그런데 김밥이 무슨 거지 발싸개같았어요.

                          부스러져 따로 노는 김에 옆구리도 툭툭 터지고 아주 가관이었죠.

                          개죽사발같아도 맛은 끝내준다, 함 무봐라.

                          그렇게 김밥의 신세계로 발을 쑥 들이민겁니다.

                          정말 맛있었어요, 정말.

                          그도 그럴 것이 김이 달랐거든요.

                          이 시점에서 걸핏하면 듣게 되는 고향에 계신 어머니의 손맛,

                          다시 말해 백색가루 내지는 황색가루를 떠올리시면 맞습니다.

                          스승님은 반찬으로 먹는 조미김으로 김밥을 싼 겁니다.

                          싸두면 질깃해지는 맨김이 소화도 안 되고 씹는 것도 불편다 해서

                          머리를 쓰신 거랍니다.

                          기름칠 하고 맛소금 솔솔 뿌려 구워진 조미김은

                          비록 속재료를 모두를 폭 감싸안지는 못했지만

                          입 안에서 어울렁 더울렁 고집없이 섞여들어 참 고소하고 부드러웠죠.

                          그날 이후부터 저는 스승님 스타일의 김밥을 고집하고 있습니다.

                          문제는 식탁에 둘러앉아 싸면서 곧바로 먹어야 한다는 겁니다.

                          어디 들고 나갔다가 펼쳐놓으면 예민한 사람은 김밥에 혐오감이 들 수도 있어요.

                          물론 김에 간이 되어 있으므로 속재료가 짜지 않게 하는 것도 중요하죠.

                          이런 연유로 두바이 칠성급호텔 주방장 요리 못지않은 찬사를 듣는 게 제 김밥입니다.

                          단, 우리 집에서.     

                        올해는 유난히도 자생지에서 야생화가 훼손되었다는 소식이 많이 들립니다.

                          그 심각성을 반영한 듯 급기야 뉴스에까지 나오더군요.

                          꽃동무들이 갔다가 허망하게 발길을 돌렸다는 곳입니다.

                          개인적인 무슨 억하심정인지 이기심인지는 모르겠으나

                          더 이상 이런 뉴스 안 봤으면 좋겠습니다.

                          자꾸 이러면 누굴 원망하고 탓하기 전에

                          꽃 사진 찍는답시고 똑딱이 들고 다니는 제 자신이 쪽팔릴 것 같습니다.

                        가끔 텃밭 수확물을 어르신들 놀이터인 평상에 두고 올라옵니다.

                          에고데고차에 실려가는 저를 본 어르신이 걱정스런 얼굴로

                          허리 아파가며 이런 거 따오지 말라십니다.

                          저 좋아 하는 짓이고 이따구 거라도 받아주시지 않으면

                          길바닥에 버려야 할 판이라 말씀드렸죠.

                          간혹 문고리에 고칼슘우유니 수세미같은 게 걸려있곤 하는데

                          어르신들이 범인인 거 다 압니다.

                          재미로 하는 일이 오히려 어르신들 마음을 불편하게 하는 건 아닐까

                          고민하고 있습니다.

                          평상에 끼어들어 노인성 질환에 대한 수다를 떨 때

                          아무런 이질감이 없는 건 불행 중 다행입니다만. 

                         지난 금요일, 딸아이가 휴가를 냈다며 백화점으로 불러냈죠.

                           처음으로 저 보행기용 신발을 신고 걸음마 연습을 시작하던 날 받은 효도만 해도 벅찰 정도고

                           그 이후로 받은 걸 합치면 넘치고도 남습니다.

                           상투적인 말이고 누구나 다 그렇겠지만 딸아이는 제게 '존재 자체가 선물'입니다.

                           그 선물같은 아이가 훌쩍 자라 좀 뒤늦게 사회에 첫발을 내딛었죠.

                           그리고 제 힘으로 번 돈을 들고나와 엄마를 이리저리 끌고다니며 한풀이 하듯 질러댑니다.

                           간이 쪼그라들어 쳐다볼 엄두조차 못냈던 곳에서 지갑을 받아들고 나오며

                           아이고, 속 떨려 죽을 뻔 했네 하니

                           엄마, 늘 그랬던 것처럼 그저 지갑 하나 더 필요해서 산 것처럼 그렇게 생각해 합니다.

                           번쩍이는 금빛 플랫슈즈에 태국요리에 영화까지 제 생전 두 번이나 있을까 싶은 호사를 누렸죠.

                           네,다음은 시간이 좀 지난 뒤여야 가능하겠다네요.

                           그러니 아무 말 말고 받으랍니다.

                           다음 달부터는 저 잘 살 궁리를 할 거고 그러면 여유가 많지는 않을 거라면서요.

                           대견하고 고맙습니다.                

                        언제나 유쾌한 동생이 실땅님과 저, 일명 노인네를 모시고 효도관광을 시켜줬습니다.

                          올해는 그냥 넘어가나 했는데 연꽃 보러 봉선사에 가자는 말에 채신머리없이 방방 뛰며 좋아했죠.

                          가는 도중에 간간히 보이는 무궁화를 가리키며 실땅님은 너무 예쁘다를 연발하십니다.

                          그러고 보니 올 무궁화꽃은 그 어느 해보다 더 말가니 곱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