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박네 2016. 8. 1. 11:01

 

            

                 허리병에 이어 꼬리에 꼬리를 물고 발생한 자잘한 질병을

                          기를 쓰고 무찌른 이유는 딱 하나에요.

                          솔나리.

                          어디선가 연분홍 치마가 봄바람에 휘날리더라,

                          노랫가락만 흘러나와도 떠오르던 꽃입니다.

                          꽃동무님들 사진으로 보고는 단박에 마음을 빼앗겨버렸죠.

                          다른 이들도 그럴까요?

                          분홍, 그것도 연분홍는 제게 그 어떤 색으로도 덧칠할 수 없는

                          마치 첫사랑같은 빛깔입니다. 

                          한 번 마음 속에 품으니 날이 갈수록 그 사모는 눈덩이처럼 커집니다.

                          마치 이제껏 꽃따라기 흉내를 내고 다닌 것도

                          다 이 솔나리를 찾기 위한 것처럼 느껴질 정도였죠.

                          지난 해 놓쳐버린 기회가 내내 한스러웠습니다.

                          올해는 하늘이 두 쪽 난대도 내일 모레 지구가 종말을 한대도

                          솔나리는 보리라 마음 먹었어요.

                          그리고 꽃동무님들이 솔나리 사진을 뿌리기 시작했죠.

                          딱 이무렵 하늘 대신 제 허리가 두 동강(심정적인 표현입니다)난 거구요.

                         

                          국망봉, 그놈의 산 정상이 문제였습니다.

                          간절한 사랑은 늘 아득히 먼곳에 저 높은 곳에 있죠.

                          멀리 높이 있어서 더욱 간절해진 건지 알 수 없지만요.

                          엊그제까지 이런 저런 소소하고 짜증나고 민망한 각종 질병들 치료차

                          병원 내집 안방 드나들듯 하다가

                          느닷없이 등산채비를 하는 저를...그 누가 어찌 말리겠어요. ㅋ

                          못 먹어도 고,죽어도 고.

                          꽃동무 세 분과 나섰습니다.

                          국망봉 솔나리는 이미 많이 시들었다해서 목적지를 변경했습니다.

                          그 모든 계획과 행동은 꽃동무님들이 하시고

                          저는 그분들이 잘 차려놓은 밥상에 숟가락 하나만 달랑 얹었죠.

                          이게 제가 사는 방식입니다.

                          다행히 아직 감사를 잊을 만큼 뻔뻔하지는 않습니다.

               

                          어제 참 무더웠어요.

                          나비야님과 실땅님은 등산 초반에 벌써 치친 모습이 역력했습니다.

                          마지막 구간만 빼고 산길은 대체로 온순했고 계곡물은 풍성했지만

                          삼복더위 이길 장사는 우리 중에 딱 한 분 뿐이었죠.

                          가는 데 까지만 갑시다.

                          올해 못 보면 내년에 보면 되구요.

                          말은 참 쉬워요.

                          쉬운 말은 냉큼 뱉았지만 그럼 그렇지 이런 드런놈의 팔자같으니라구.

                          내년은 무슨 내년.

                          밤새 안녕이 남의 얘기도 아닌 세상에.

                          이번에도 못 보면 저눔의 솔나리를 내 마음 속에서 싹 지워버려야지.

                          그까짓게 뭐라고.

                          비 맞은 중처럼 중중 거렸습니다.

                          속으로요.

                          가는 날이 장날이고 시집 가는 날 등창난다더니

                          하필이면 하늘은 우거지 죽상에 소나기 소식까지 있었거든요.

 

                         간절함이 통했을까요.

                         조마조마하던 꽃동무 두 분이 서서히 원기를 회복하셨죠. 

                         그렇게 산 정상에서 솔나리와 조우했습니다.

                         아니 알현했습니다.

                         그 첫 만남은 의외로 덤덤했습니다.

                         이래서 마음 속에서 키운 사랑 백주대낮에 꺼내는 거 아니라 하는 모양입니다.

                         아,물론 감동적일 만치 어여쁘긴 했어요.

                        

                         하산길 천둥이 배고픈 맹수소리를 내며 한바탕 난리굿을 하더니

                         비가 쏟아졌습니다.

                         다른 분들은 어땠는지 모르겠지만 육신의 배도 마음의 배도 부른 저는

                         케쎄라 쎄라였죠.

                         일행 네 명에 우비는 세 개.

                         저 인간이 비를 쫄쫄 맞으며 가는 걸 보느니 차라리 내가...

                         어디나 이런 분들이 꼭 있습니다.

                         그래서 이기적인 인간들이 더 잘 사는 듯 보이기 마련이구요.

                         상상하시는 대로 저는 당연히 비옷을 입었습니다.

                         비는 줄기차게 내렸죠.

                         하늘은 간혹 크렁크렁 천둥치는 것도 잊지 않더군요.

                         퍼붓는 비를 오롯이 맞으며 앞서 걸어가는 분께,

                         사나이 체면에 울고 싶어도 그리 못 한 일이 있거나

                         생각할수록 사무쳐 눈물나는 그리운 이가 있다면

                         이참에 펑펑 울어보시라 했죠.

                         빗물인지 눈물인지 누가 알겠냐고.

                         천둥치는 소리에 잘 맞추기만 하면 엉엉 소리내도 아무도 모를 겁니다.

                         다행인지 불행인지 그분은 저처럼 잡다한 슬픈 기억이 없으신 모양입니다.

                         가끔 뒤돌아 패잔병같은 일행들을 향해 아주 해맑은 미소를 지으십니다.

                         아무래도 다음에는 제가 비옷을 양보해야겠어요.

                         '세찬 소나기를 맞으며 한 두어 시간 청승 떨기'를 버킷리스트에 넣을까?

                         이건 가족들과 의논해보고 결정해야겠지요?

                         그러고 돌아다닌다는 제보를 받고 놀라면 곤란하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