텃밭일기

텃밭일기 17

타박네 2017. 9. 19. 23:30

              한 해 두 번 꽃을 피우는 자수정.

                 꽃 한 송이가 한 다발 노릇을 톡톡히 해냅니다.

 

                아무래도 내년에는 울타리에서 나팔꽃 새싹을 뽑아내는 일에 열을 올리게 될 것 같습니다.

                 큰길쪽으로 난 울타리를 거의 다 뒤덮을 기세로 뻗어나가는 걸 막느라 애를 좀 먹었거든요.

 

                 늘 그 시간에 골목을 지나가시는 어르신이 조심스레 양철문을 열고 들어오셨어요.

                  백일홍 씨앗이 여물거든 조금 받아 달라십니다.

                  어려운 일이 아니므로 흔쾌히 그러겠노라 했지요.

                  이어 열대 우림의 무슨 나무처럼 자란

                  피마자를 근심스런 얼굴로 바라보시다가 한말씀 하십니다.

                  아무래도 저건 먹는 게 아닌 것 같아.

                  그래요?

                  잎으로 묵나물 좀 만들어 볼까 하고 심은 건데.

                  옛날에 맛 모르고 먹었던 보름나물 생각도 나고 해서요.

                  혹시 모르니 먹지 마.

                  관상용으로 나온 걸 수도 있으니까.

                  지나치게 크고 무섭게 붉은 열매가 영 낯선 모양입니다.

                  그렇찮아도 연한 잎 따기 틀렸어요.

                  사다리 놓고 올라가면 모를까.                 

                밭고랑 풀만 보며 다닌다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그러니 제 눈높이에 매달린 과일을 못 보죠.

                   살구가 그랬고 이번에는 대춥니다.

                   대추가 첫해인데도 씨알이 제법 굵네.

                   어디, 어디요?

                   어르신 시선을 따라 가 봤더니 탁구알만한 대추가 다섯 개나 달려있는 겁니다.

                   아, 저걸 못 봤어?

                   대추나무인지도 몰랐어요.

                   아싸 아싸! 이게 웬 떡이야.

                   제 호들갑에 어르신이 어이없어 웃으십니다.

                바질.

                  한숨부터 나옵니다.

                  익숙치 않은 식재료인 바질을 심은 데는 분명 이유가 있었죠.

                  가끔 방문하는 요리 블로그에 종종 등장하는 재료가 바질이었어요.

                  소스는 어떨지 모르겠으나

                  얼음 띄운 음료나 파스타같은 요리 장식으로 아주 근사해 보였습니다.

                  쑥갓 상추 근처에 있는 듯 없는 듯 조금 심어두면

                  쓸데없이 허영심이 솟구치는 어느 날 아주 요긴하게 쓰일 것 같았죠.

                  시원한 레몬차에 동동 띄워도 될 만큼 잎이 채 크기도 전 사단이 났습니다.

                  카페에서 주문한 미니 커피빵을 먹고

                  심한 알레르기 증상이 나타나 응급처치를 받게 된 건데요.

                  전신 두드러기를 시작으로 눈 주위가 퉁퉁 붓고 입안이 마비되는 느낌

                  그리고 호흡곤란이 그 증상입니다.

                  응급실에서 해독주사와 링거를 맞고 이삼십 분 정도 있으면 금새 진정되긴 합니다.

                  뭐가 문제였을까 의아했어요.

                  십대 후반부터 온갖 알레르기에 시달린 터라

                  무엇이 제 몸에 지뢰역할을 하는 지 거의 파악하고 있거든요.

                  새삼스러울 거 없는 커피빵에서 평소와 다른 게 있었다면

                  하얀 생크림 위에 사뿐 놓인 초록 이파리,바질이었죠.

                  설마?

                  그 코딱지만한 이파리 몇 개가?

                  방심한 사이 설마하던 일은 연달아 두 번 더 터졌습니다.

                  바질 소스에 버무린 새우요리,

                  바질페스토가 첨가된 것으로 보이는 토마토 스파게티를 먹고 난 이후였죠.

                  커피빵의 경우처럼 황급히 응급실로 달려가야 했습니다.

                  이로써 제 인생에 지뢰 하나가 추가됐습니다.

                  요리조리 잘 피하며 살아왔듯 앞으로도 그런 행운이 이어지기를 바랄 뿐입니다.

                  풍성하게 자라 하얀 꽃을 피운 바질을 보니 참 씁쓸합니다.              

 

                언젠가 낫으로 싹뚝 베어버렸던 우피이엽소가 다시금 힘을 내더니 꽃을 피웠어요.

                  어느 정도 간격을 두고 박주가리와 큰조롱도 경쟁하듯 피고 집니다.

                  언듯보면 잎들이 비슷비슷해 보이나 찬찬히 들여다보면 모양과 초록의 밝기가 다르죠.

                  재밌네요.

                  비교 사진을 찍는다는 게 그만 깜빡했습니다.

                  깜빡병은 또 알레르기만큼이나 오래된 지병이죠.

                  이건 약도 없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