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박네 2018. 10. 1. 13:24

                 

                 

            쌀쌀할 거라는 일기예보가 있었지만 시월을 하루 앞둔 어제,

                  구월 말이면 아직은 여름 끝자락이고

                  동네 산이나 마찬가지니... 하면서 만만히 보았다.

                  늘 그렇듯 세상살이 만만한 건 하나도 없다.

                  늘 그랬듯 착각만 했을 뿐.

                  내 안의 경계심 마지노선이 무너지고 네가 나이고 내가 너이다 싶은 순간

                  냅다 뺨을 얻어맞고는 아픈 것 보다 어리둥절 했던 일들은 수 없이 많았다.

                  그럼에도 가끔 세상이 만만하다.

                  여전히 무지하고 미련하다는 뜻이다.

                 

                  볼에 와닿는 바람은 제법 앙칼졌다.

                  맑고 풍성한 계곡물은 보기만 해도 오소소 소름이 돋았다.

                  무정한 바람은 교복처럼 입고 다니는 얇은 셔츠를 뚫고 제집처럼 들락날락했다.

                  혹시나 하고 챙겨온 조끼를 꺼내 입을까 하다 빨리 걷는 쪽을 택했다.

                  휴양림 입구 개여뀌를 시작으로 바보여뀌 가시여뀌가 무리지어 피어

                  같은 듯 다른 풍경을 연출했지만 대부분 일별만 했다.

                  어느 정도 몸이 더워졌다 싶을 즈음 나타난 너럭바위에 앉아

                  동네 단골 카페에서 사온 라떼를 마셨다.

                  반쯤 식어 있었지만 아무려나 상관 없었다.

                  초록이파리들이 재잘대는 물가 자리에서 마시는 커피는 보약이나 매한가지다. 

                 

                  언젠가부터 목표를 정하고 길을 걷는다.

                  무작정과 목표가 분명한 작정의 차이는 있다.

                  간혹 나약한 의지를 뛰어넘는 초인적 힘을 발휘할 때가 있다.

                  작정하고 나섰을 때다.

                  무작정이라면 걷는 일이 시들해질 무렵 되돌아 서는 게 쉽다.

                  어제도 작정한 바 있었고

                  그래서 뜨거운 물에 불린 눌은밥 한 컵의 에너지만으로도

                  거뜬하게 그곳까지 다녀올 수 있었다.    

                  

                  목표,놋젓가락나물 자생지까지.

                  휴양림입구에서 복주산 정상까지 대략 6km.

                  정상을 1km 앞두고 하산,왕복 10km 걸었다.

                  딱 그쯤에 놋젓가락나물이 있으니 더 갈 이유도 없었지만

                  사실 늦게 출발한 터러 시간도 많이 부족했다.

                 

               연습 끝,다시 휴대폰카메라

               복주산 가는 도로 옆에 개여뀌가 만발했다.

                  더덕밭이었는데 더덕보다 개여뀌가 더 많았다.

 

 

                  복주산휴양림 초입

 

 

 

                  투구꽃

 

 

                  까실쑥부쟁이

 

 

                놋젓가락나물

                   때가 늦어 꽃을 못 볼 수도 있겠구나 했다.

                   그래도 안부나 확인하자 했는데 빛깔도 고운 꽃 몇 송이 피어 있다.

                   고맙게도.

                    물봉선과 나도송이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