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한 밥상

라면의 추억

타박네 2012. 10. 6. 22:07

세상에서 제일 맛있는 음식이 뭐냐 묻는다면

나는 일초의 망설임도 없이 라면! 이라고 말한다.

오십 평생 살아오면서 눈물을 질금거릴 만큼 감탄하거나

감사하며 먹었던 음식의 기억 대부분을 라면이 차지하고 있기 때문.

내 생의 최초 라면은 늘 감질났으나 따스한 맛이었다.

시골국수가 도시에 나가 꼬불이 빠마하고 나타난 것처럼

어딘지 모르게 촌스러우나 또 어딘지 모르게 '있어뷔던' 삼양라면이었던가?

식재료의 거의 대부분을 텃밭 아니면 들과 산에서 자체 해결하던 시절,

것도 돈 주고 사 먹는 음식이라고 그리 흔치도 넉넉치도 않았다.

식은 밥 한덩어리 남아있는 날 김치 숭숭 썰어 넣고 라면 뽀샤 넣고 부글부글 끓여

대여섯 식구 허기를 달래던 일명 꿀꿀이죽이거나

라면 두어 개에 국수를 추가로 넣어 끓인,

도대체 음식의 정체성이 모호한 라국시.

그 옛날 어머니의 커다란 양은냄비는 마치 동화 속 조약돌 수프처럼 

아주 적은 재료로도 뜨끈하고 푸짐한 음식을 만들어내던 요술 냄비였다.

 

결혼 초, 남편과 수락산으로 나들이 하던 날.

수락산 정상을 마치 우리집 뒷동산 쯤으로 여기고

잠깐 올라갔다 내려와 밥 먹자 하며 물 한 병 달랑 들고 올랐으나

산은 그리 호락호락하지 않았고 

신진대사 왕성하던 젊은 창자는 먹을 걸 넣어 달라 아우성 치기 시작했다.

서둘러 하산을 했음에도 허기는 이미 극에 이르러 인간의 존엄성이고 나발이고

보는 눈 없고 하늘만 무섭지 않다면 달려들어

서방 허벅지 살이라도 뜯어 먹고 싶은 심정이었다.

천자문 서두에 나오는 천지현황,

하늘과 땅이 검고 누런 이유를 그 날 제대로 알아먹은 것이다.

어쩌면 내가 짝퉁채식주의자에서 육식열광주의자로 갈아탈

유일한 기회였을 수도 있겠다.

모르면 몰라도 동공까지 노래졌을 무렵 만난 포장마차에서

뜨거운 물을 붓고 3분을 미처 다 기다리지 못하고 덤벼들어

거의 3초만에 국물 한 방울 남기지 않고 먹어치운 사발면.

하마터면 프라스틱 용기마저 아작아작 씹어먹을 뻔한 그 때의 라면 맛을

나는 두번 다시 느끼지 못했다.

 

영화 식객에 이런 대사가 나온다.

라면을 맛있게 끓여 먹는 방법을 부디 알려달라

애걸복걸 꽁무니 졸졸 따라다니던 사람에게 성의없이 툭 던진 한 마디,

배 고플 때 먹어.

백번 맞는 말이다.

음식 앞에 두고 매운 타령 짠 타령하거들랑 쫄쫄 굶겼다가

그야말로 디지기 일보 직전 먹이면 팅팅 불어 우동으로 변신한 라면일지라도

죽어도 잊지 못할 별미로 영원히 남을 테니까.

 

사실 라면은 맛 없게 끓이기가 더 어려운 음식 중 하나다.

라면 만드는 전문가들이 실험에 실험을 거쳐 오죽 잘 만들었을까.

정해 준 용량 대로 물 붓고 파르르 끓이기만 하면

일단 기본은 먹고 들어가는 것임에도

뭔 씨잘떼기 없는 창의성을 거기다 발휘하는지 흐여멀건 국을 만들거나

라면볶음을 만들어 내는 사람들, 희안하게도 내 주위에 많다.

 

부추나 깻잎같은 향긋한 채소를 꾸미로 얹거나

계란 탁, 파 송송해  살짝 한 단계 신분 상승한 라면부터

각종 신선한 해산물을 곁들인 해물탕 탈을 쓴 귀족라면,

송이나 능이처럼 귀한 버섯들을 마치 발치에 채이는 흔한 식재료인양

한웅큼 툭 던져넣고 끓인 허세라면까지.

라면은 참 맛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