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야생화와 풍경

제비난초

by 타박네 2017. 5. 24.

              올해도 그 자리를 지키고 있을까,꽃은 피었을까,

               제비난초 만나러 가는 발걸음이 절로 빨라집니다.

               차를 세우고 돌아서자마자 맞딱뜨린

               기세등등한 지느러미엉겅퀴 군락 정도는 무시합니다. 

               하지만 비탈길에 핀 꿀풀만은 외면할 수 없었죠.

               무릎 꿇고 경배합니다.          

 

             지팡이 없이 팔순 노인도 오를 수 있을 정도로 길은 완만하고 순합니다.

               국수나무와 나도국수나무가 서로 마주 보며 도열한 가운데

               중간중간  찔레가 붓꽃이 엉겅퀴가 쉼표처럼 나타나는데요.

               학창시절 삐딱선 타던 개버릇 이때만큼은 남 주고 

               본래 말 잘 듣는 학생이었던 것처럼 쉬라 하니 쉬고 갑니다.

               몇 해 전 처음 이 길을 걷던 날,

               가장 인상적이었던 것은 큰애기나리 군락이었습니다.

               지금은 꽃도 시들고 몸집도 줄어 예전의 모습을 찿을 수 없지만

               첫사랑 첫마음은 영원하죠.

               찔레꽃이 제아무리 눈부셔도 꿀풀이 바짓가랑이를 붙들고 늘어져도

               큰애기나리길입니다.                           

             한무리 흰나비가 내려앉았나 했어요.

               찔레꽃이 눈부시게 새하얗습니다.              

             은대난초가 많은 숲입니다.

               지천이라 표현해도 과히 심한 뻥은 아니죠.

               올해는 가뭄 탓인지 꽃봉오리 상태들이 좋지 않습니다.

               이리저리 살피는 중에 노루발풀이 여기저기 눈에 띕니다.

               푸짐한 덤을 받은 양 흡족합니다.              

 

              서너 개체만 되도 좋으련만...

                 이전의 모습에 비해 훨씬 가늘어진 줄기와 부러진 잎을 보니

                 안쓰럽고 안타까운 마음이 더합니다.

                 꽃은 두 주쯤 후에나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제비난초에 아쉬움을 남기고 돌아선 뒤에야 지느러미엉겅퀴 앞에 섭니다.

                어쩐지 조금 미안해집니다.

                귀천을 따지지 않겠다며?

                가시를 세우고 따져묻는 듯 해서 말이죠.

               

 

'야생화와 풍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비난초  (0) 2017.06.04
개봉박두  (0) 2017.05.29
명성산,복주머니란  (0) 2017.05.19
4월 30일 광덕산  (0) 2017.05.14
동막골,족도리풀,애기송이풀  (0) 2017.05.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