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야생화와 풍경

금학산

by 타박네 2014. 7. 13.

                        다음 주 화요일 고대산 보개봉 금학산 종주라는 택도 없는 계획을 세워두고는

                            똥 싸고 뒤 안 닦은 것마냥 줄곧 마음 한켠이 편치 않았다.

                            고대산 등산로를 눈에 익힌 것도 불과 얼마 전 일인데 어디 붙었는지도 모르는 보개봉과 금학산이라니.

                            산을 잘 아는 지인이 동행해주겠다 했지만 불안을 떨칠 수는 없다.

                            우선 금학산부터 가 보자.

                            부랴부랴 어젯밤 금학산에 관한 정보를 찾아보니 결코 만만히 볼 산이 아니다.

                            앓느니 죽겠다.

                            오늘 아침, 전장에 나가는 병사처럼 비장한 마음으로 등산화 끈을 조여맸다.                   

                           철원여중고를 지나 주차장에 차를 세워두고 약수터에서 출발했다.

                       자주꿩의다리

                           소담스럽게 무리지어 핀 고대산 칼바위 능선과는 달리 오르는 길 내내 드믄드믄 피어 있다.

                            매바위 근처에서 맨발의 등산객 한 분이 리코더를 불고 계신다.

                           산에서 듣는 My heart will go on.

                           감동적이다.                 

                           매바위, 충신바위라고도 부른다고

                           하늘j와 더불어 내 든든한 꽃산행 후원자인 실땅님.         

                            돌양지꽃

                          바위채송화

                           산앵도나무

                           원추리

                            화재경보종

                                                   

                                      돌려난 잎이 두 개 층인 신기한 하늘말나리가 여러 개체 보인다. 

                          기장 바로 옆 정상

                           하루종일 흐림

                         

                           으아리

                           둥굴레 열매

                            산 정상 주위에 동자꽃이 많이 보인다.

                           올라왔던 길로 되돌아 가지 않고 마애불 쪽으로 하산.

                         한동안 이 레일을 따라 내려갔다 .            

                           산꿩의다리

                          약수터, 매바위, 화재경보종을 지나 헬기장과 정상,

                           그리고 호랑이바위, 쉼터, 마애불을 거쳐 하산했다. 

                           화재경보종 자리에서 무릎에 파스를 붙이고 다시 걷기 시작했는데

                           약발이 듣는지 걸음이 한결 부드러웠다.

                           쉼터에서 늦은 점심을 먹으며 다시 보니

                           파스 두 장은 무릎이 아닌 등산화 끈 위에 턱허니 들러붙어 있다.

                           등산화에 붙여도 효과엔 별 차이가 없다는 걸 알았다.ㅋㅋ

                           하지만 몇 개 봉우리를 넘어다니도록 효과를 발휘할 것 같지는 않다.

                           해서 다음 주 종주 계획은 없었던 걸로!

                           금학산이 내 한계인 것 같다.                  

                          

                               마애불

                            잠시 딸을 위한 간절한 기도.

                            꿀꾸리, 힘 내!                        

                              바위 틈 도라지.

                            캐고 싶어도 바위를 부수지 않는 한 불가능하다.

                            가장 안전한 장소에 뿌리는 내렸으나 꽃은 위태로워 보인다.

                          마애불쪽 하산길도 올라온 길처럼 가파르다.

                               주차장으로 다시 돌아가는 길가에 돌본 흔적이 없는 묘지가 있어 둘러보았다.

                            원추리와 타래난초가 지천으로 피어있다.

                                                         타래난초

                          박주가리

                             농가 텃밭에 핀 고구마꽃

                             음식 나오기 기다리다 환갑찬치 할 뻔 했다.

                            게다가 멋 모르고 주문한 칡냉면은 어찌나 매운지 

                            더위 먹은 강아지 마냥 한참을 혀를 빼고 헐떡거려야 했다.

                            양념을 100% 청양고추로 만든다고.                    

            

'야생화와 풍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장산,상사화는 없었지만~  (0) 2014.07.20
자주조희풀(분홍)  (0) 2014.07.17
고대산,자주꿩의다리  (0) 2014.07.09
풍혈 작살나무  (0) 2014.06.18
고대산 노랑망태버섯  (0) 2014.06.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