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에서 제일 맛있는 음식이 뭐냐 묻는다면
나는 일초의 망설임도 없이 라면! 이라고 말한다.
오십 평생 살아오면서 눈물을 질금거릴 만큼 감탄하거나
감사하며 먹었던 음식의 기억 대부분을 라면이 차지하고 있기 때문.
내 생의 최초 라면은 늘 감질났으나 따스한 맛이었다.
시골국수가 도시에 나가 꼬불이 빠마하고 나타난 것처럼
어딘지 모르게 촌스러우나 또 어딘지 모르게 '있어뷔던' 삼양라면이었던가?
식재료의 거의 대부분을 텃밭 아니면 들과 산에서 자체 해결하던 시절,
것도 돈 주고 사 먹는 음식이라고 그리 흔치도 넉넉치도 않았다.
식은 밥 한덩어리 남아있는 날 김치 숭숭 썰어 넣고 라면 뽀샤 넣고 부글부글 끓여
대여섯 식구 허기를 달래던 일명 꿀꿀이죽이거나
라면 두어 개에 국수를 추가로 넣어 끓인,
도대체 음식의 정체성이 모호한 라국시.
그 옛날 어머니의 커다란 양은냄비는 마치 동화 속 조약돌 수프처럼
아주 적은 재료로도 뜨끈하고 푸짐한 음식을 만들어내던 요술 냄비였다.
결혼 초, 남편과 수락산으로 나들이 하던 날.
수락산 정상을 마치 우리집 뒷동산 쯤으로 여기고
잠깐 올라갔다 내려와 밥 먹자 하며 물 한 병 달랑 들고 올랐으나
산은 그리 호락호락하지 않았고
신진대사 왕성하던 젊은 창자는 먹을 걸 넣어 달라 아우성 치기 시작했다.
서둘러 하산을 했음에도 허기는 이미 극에 이르러 인간의 존엄성이고 나발이고
보는 눈 없고 하늘만 무섭지 않다면 달려들어
서방 허벅지 살이라도 뜯어 먹고 싶은 심정이었다.
천자문 서두에 나오는 천지현황,
하늘과 땅이 검고 누런 이유를 그 날 제대로 알아먹은 것이다.
어쩌면 내가 짝퉁채식주의자에서 육식열광주의자로 갈아탈
유일한 기회였을 수도 있겠다.
모르면 몰라도 동공까지 노래졌을 무렵 만난 포장마차에서
뜨거운 물을 붓고 3분을 미처 다 기다리지 못하고 덤벼들어
거의 3초만에 국물 한 방울 남기지 않고 먹어치운 사발면.
하마터면 프라스틱 용기마저 아작아작 씹어먹을 뻔한 그 때의 라면 맛을
나는 두번 다시 느끼지 못했다.
영화 식객에 이런 대사가 나온다.
라면을 맛있게 끓여 먹는 방법을 부디 알려달라
애걸복걸 꽁무니 졸졸 따라다니던 사람에게 성의없이 툭 던진 한 마디,
배 고플 때 먹어.
백번 맞는 말이다.
음식 앞에 두고 매운 타령 짠 타령하거들랑 쫄쫄 굶겼다가
그야말로 디지기 일보 직전 먹이면 팅팅 불어 우동으로 변신한 라면일지라도
죽어도 잊지 못할 별미로 영원히 남을 테니까.
사실 라면은 맛 없게 끓이기가 더 어려운 음식 중 하나다.
라면 만드는 전문가들이 실험에 실험을 거쳐 오죽 잘 만들었을까.
정해 준 용량 대로 물 붓고 파르르 끓이기만 하면
일단 기본은 먹고 들어가는 것임에도
뭔 씨잘떼기 없는 창의성을 거기다 발휘하는지 흐여멀건 국을 만들거나
라면볶음을 만들어 내는 사람들, 희안하게도 내 주위에 많다.
부추나 깻잎같은 향긋한 채소를 꾸미로 얹거나
계란 탁, 파 송송해 살짝 한 단계 신분 상승한 라면부터
각종 신선한 해산물을 곁들인 해물탕 탈을 쓴 귀족라면,
송이나 능이처럼 귀한 버섯들을 마치 발치에 채이는 흔한 식재료인양
한웅큼 툭 던져넣고 끓인 허세라면까지.
라면은 참 맛있다.
'행복한 밥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딸이 차린 저녁밥상 (0) | 2012.12.27 |
---|---|
회룡사 산책,딸이 차려준 생일상 (0) | 2012.10.09 |
오로지 나를 위한 능이버섯찌개~ (0) | 2012.09.24 |
포슬포슬 삶은 감자 (0) | 2012.06.29 |
한꺼번에 풀 많이 먹는 방법 (0) | 2012.06.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