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야생화와 풍경

정선 하늘길

by 타박네 2017. 9. 14.

 

               수첩 기록을 보니 지난 해 6월 26일 이 하늘길을  걸었군요.

                그때는 푸른여로며 요강나물,터리풀과 꿀풀이 길가에 흐드러졌었죠.

                드문드문 핀 큰꽃옥잠난초 찾는 재미도 쏠쏠했구요.

                가장 예쁜 걸 찾아낸 제가 꽃동무들에게 커피를 쏘기도 했었는데...기억하세요?^^

                초여름과 초가을의 하늘길 풍경은 같은 듯 또 달랐습니다.

                그때 만났던 정겨운 꽃들은 대부분 사라지고 없었죠.

                그 서운한 자리에 가을을 알리는 전령사 눈빛승마가 숲 속 터줏대감처럼 우뚝,

                개쑥부쟁이가 화들짝 피어 길을 환히 밝히고 있었습니다.

                이른 봄꽃들과 달리 가을꽃들은 대체로 훤칠하죠.

                해서 각시취며 개미취,개구릿대처럼 싱겁게 키 큰 꽃들과 눈맞춤하는 건 참 수월합니다.

                그럼에도 여전히 무릎 꿇고 머리 조아리게 만드는 꽃들은 있습니다.

                둥근이질풀과 흰송이풀이 그랬죠.

                숭숭 이 빠진 모양의 마주송이풀과 흰송이풀을 볼 때마다 너 참 성의 없구나 하며 웃습니다.

                천하 게을러터진 장인이 꽃잎 만들다 말고 막걸리 한 사발 마시러 간 게 분명해 하면서요.

                반면에 둥근이질풀은 누가 봐도 모범적인 꽃의 표본이죠.

                부드러운 곡선으로 그려낸 단정한 꽃잎 다섯 장에 속 울렁이게 하는 분홍빛깔.

                한 송이도 감사한데 꽃무더기가 이어집니다.

                사랑 호르몬이 전신에 퍼지고 흐믈흐믈 다리에 힘이 풀리면서 절로 털썩 주저앉게 만들죠.

                그렇게 놀며 쉬며 꽃 보며 떠들며 해발 1200 m 높은 산길9.4 km를 걸었습니다.

                7시간 30분 걸리더군요.

                그때도 그랬던 것 같네요.            

 

                개버무리(휴게소 담장에서)                           

 

 

                 나비야님

               방아풀? 오리방풀?

                 도감 찾고 검색 좀 하면 금방 나올 이름이지만 그냥 냅둘랍니다.

                 답답하지 않거든요.

               무슨과의 다년생 식물이라거나 총상꽃차례 어쩌구 저쩌구는 제게 아무 의미가 없습니다.

                 저는 근사한 꽃사진을 수집하거나 공부하는 사람이 아닙니다.

                 비록 흐릿해진 시력이나마 먼저 시각으로 다음엔 후각으로 그리고 세월의 더깨 낀 가슴으로

                 꽃을 즐기는 사람입니다.

                 사람 쉽게 변하지 않는다는 건 심리학자의 연구결과를 차치하고라도 맞는 말입니다.

                 공부는 여전히 적성에 맞지 않아요.

                 공부라면 좋다고 잘하던 짓도 때려치웁니다.

                 똑딱이로 한 두장 담아오는 행위는 기억하고 싶어서죠.

                 물론 가끔 전문가님 흉내내느라 나름 멋을 부려보기도 합니다.

                 어설픈 화장처럼 민망하기 일쑤지만요.

                 자리 그 동무들 그리고 눈부셨던 꽃자리.

                 추억통장에 고이 담습니다.

                 곰야곰 꺼내 쓸 날이 그닥 멀지 않다는 게 슬플 뿐이죠.

                 

                 이고들빼기                               

 

                큰참나물

                  잎은 영락없는 참나물인데 꽃빛깔이 생경해 참 당황스러웠어요.                

                  미국가막사리

 

                  말나리꽃이 별 네 개를 남겨두고 떠났군요

               큰꽃옥잠난초다아아아~~~

                 제가 탄성처럼 소리를 지르게 만들었던 그 꽃일까요?                    

                  천남성과 단풍취

 

                 승마

 

                 눈빛승마

              두메고들빼기?

                 막 갖다 붙여봅니다.

              이륙 준비를 마친 씨앗의 모양이 그저 신기하고 기특해서 담아왔습니다.

                 단지 그것 뿐입니다.

 

 

              잎이 마주나기를 하고 있다 해서 마주송이풀.

                이러니 좀 있어 보이네요.

                삼 년 묵은 서당개스럽기도 하구요.ㅋ            

                 흰송이풀

            

                본연의 임무를 마쳤다고 훽 돌아누운 가짜꽃도 꽃이라고 제 눈엔 곱습니다.

                 산여뀌

                 개쑥부쟁이

              까실쑥부쟁이

                잎을 만져보면 왜 까실이라는 접두어가 붙었는지 알 수 있죠.

                까칠진숙이라는 별명으로 통하던 그 시절의 제 모습을 딱 닮은 꽃이어서 남달리 더 정감이 갑니다.

                꽃송이 인색하지 않고 앙증맞은 모양이 어쩌자고 예쁘기까지...제가 그렇다는 건 아닙니다.             

             이번 꽃길의 백미였어요.

               가치의 기준에 따라 각자 백미가 다르겠지만 제 경우에는 그렇습니다.

               일단 처음 본다는 것에 큰 의미가 있죠.

               그리고 뭐든 넉넉하고 푸짐한 걸 좋아하는 제 취향에 걸맞습니다.

               가을빛이 내려앉기 시작한 조금은 쓸쓸한 산길에서

               각시취의 존재는 수십 만 환영인파와도 같았습니다.

               고마웠어요.

                           

                텃밭에 지천으로 흐드러진 고려엉겅퀴건만 어쩌다 한 송이씩 보이니 새삼 귀하고 반갑더군요.

                

                 개구릿대

                 참당귀

                 독활 열매

                과남풀             

 

 

 

                꽃 핀 모습입니다.

 

                 골등골나물

              어디서 얼핏 본 건 있다고 큰세잎쥐손이풀과 둥근이질풀 차이가 뭘까 문득 궁금해졌습니다.

                 잎이 크고 세 갈래로 갈라지면 큰세잎쥐손이풀,

                 다섯 갈래로 갈라진 둥근잎에 줄기에 털이 많고 꽃빛이 붉으면 둥근이질풀.

                 그러므로 이건 둥근이질풀.

 

 

                 둥근이질풀

 

                 둥근이질풀과 달리 꽃잎의 끝이 갈라진 태백이질풀

                  이렇게 말끔한 동자꽃을 볼 수 있어 참 좋았습니다.

              몇 해 전 가야산에서 본 가야물봉선 만큼이나 작은 흰물봉선.

                 크기로 말하자면 가야나 이거나 그게 그거고만

                 굳이 이름을 달리 만들어 흔하니 귀하니 하는 건지 원... - 무식한 꽃쟁이 생각 -

                 참싸리

                해발 1200m에서 바라본 능선

                흰진범                

                마운틴콘도에서 출발해 하이원호텔에 도착했습니다.

'야생화와 풍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주쓴풀,큰제비고깔  (0) 2017.09.20
물매화  (0) 2017.09.18
꽃쟁이 놀이터 개장 소식  (0) 2017.08.28
여름휴가 끝  (0) 2017.08.19
노랑망태버섯  (0) 2017.08.15